기사 메일전송
스마트화와 차별화로 위기 넘자 - 전체 제책업체수 9.7% 증가 - 10인 이상 업체 15.2% 감소 - 제책업계 생산 환경 내리막
  • 기사등록 2020-06-28 13:00:18
기사수정




부가가치 증대로 전략 수정

스마트화와 차별화 화두로

특수제책 등 신기술 트렌드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총조사에 따르면  제책업 전체 사업체수는 2018년 1385개사로 2014년(1262개사) 대비 9.7%(123개사) 증가했다. 하지만 10인 이상 사업체수는 2018년 140개사로 2014년(165개사) 대비 15.2%(25개사) 감소했다. 

그만큼 제책업에 종사하는 사업체수는 많아졌지만 그 환경은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책업계의 매출과 수익이 성장하고 있다면 큰 규모의 업체들이 늘어나야 하는 반면에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소규모 제책업체만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규모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가 얼마나 향상되고 있느냐는 것이다. 


부가가치 증대로 전략 전환 필요


열심히 일해도 늘 그자리라는 것은 고생만 했지 그 수익이 적다는 것이다. 

향후 미래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도 부가가치 증대로 전략을 전환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스마트화와 차별화 및 수출 확대가 중요하다.

제책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인력감축, 효율성 제고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제책라인의 설비들을 네트워크화해 전문가가 아닌 최소 인원만을 채용해 가동하는 ‘스마트 팩토리’가 부각되고 있다. 또한‘친환경화’,‘자동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제 전세계적으로 과거와 같은 경제호황은 다시 오기가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성장의 둔화와 함께 덤핑경쟁 등 생존하기 위한 경쟁은 치열해질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제품의 생산은 필수적일수밖에 없고 다품종 소량생산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또한 생산에도 유연성이 필요한 시대가 됐다.

POD인쇄의 보편화와 맞춤형 포토북 시장의 성장으로 이전처럼 대형 제책라인 보다는 컴팩트 하면서도 신속한 소량 다품종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소형 제책기 장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기존의 대규모로 주문하는 기업중심 수요에서 소량, 다품종을 원하는 개인이 제책시장에서도 주요 고객으로 성장하면서 이와 같은 POD인쇄와 맞춤형 포토북 시장의 시장규모가 꾸준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표적인 인쇄 후가공인 제책업체의 틀에서 그동안의 기술 및 네트워크를 토대로 전체적인 후가공에 대한 프로모션 또는 후가공라인 컨설팅회사로의 변화도 염두해 보는건 어떨까 한다. 앞으로도 전통적인 옵셋인쇄물량이 계속적으로 정체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 

차별화 중요


또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 하고 차별화 해야 한다.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함으로써 가격 전쟁에서 다소나마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정 비용을 줄이거나 경쟁 업체와 가격을 비교하면서 마진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는 대신, 새로운 표준을 정하고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고객을 묶어두는 것은 물론 새로운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자라나는 우리의 미래인 유아들을 위한 책자를 생산하는 특수제책 분야는 제책업계의 하나의 희망이 될 수 있다.

출산율 하락과 함께 부모들의 어린 자녀들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투자는 더욱 확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질의 유아용의 보드책이나 날개책, 슬라이드책 팝업북 등을 찾고 있으며 이러한 유아용 도서 후가공 분야인 특수제책을 발전시켜 활로를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수 제책 등 해외 수출 지원 시급

  

국내 내수가 어려우면 수출에서 길을 찾아야 한다. 유아용 특수책 제작기술이 우수하기에 수출전선도 쉽게 뚫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있다. 바로 접착제 때문이다. 

선박에 컨테이너로 선적해 이동할 때 적도를 지나는 경우 보드책의 접착제가 변성돼 수출국 현지에 도착했을 경우 책이 뒤틀어지는 등 불량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출의 경우에는 적도를 지나지 않는 지역의 국가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이처럼 해외수출을 위한 판로개척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세제혜택 등 정부의 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korpin.com/news/view.php?idx=1228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